반응형
대법원 1994. 4. 29. 선고 93다35551 판결
1.쟁점
채권의 귀속이 민법 제451조 제1항 전단의 "양도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2.판결요지
민법은 채권의 귀속에 관한 우열을 오로지 확정일자 있는 증서에 의한 통지 또는 승낙의 유무와 그 선후로써만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데다가, 채무자의 "이의를 보류하지 아니한 승낙"은 민법 제451조 제1항 전단의 규정 자체로 보더라도 그의 양도인에 대한 항변을 상실시키는 효과밖에 없고, 채권에 관하여 권리를 주장하는 자가 여럿인 경우 그들 사이의 우열은 채무자에게도 효력이 미치므로, 위 규정의 "양도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사유"란 채권의 성립, 존속, 행사를 저지·배척하는 사유를 가리킬 뿐이고, 채권의 귀속은 이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451조 (승낙, 통지의 효과)
①채무자가 이의를 보류하지 아니하고 전조의 승낙을 한 때에는 양도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사유로써 양수인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그러나 채무자가 채무를 소멸하게 하기 위하여 양도인에게 급여한 것이 있으면 이를 회수할 수 있고 양도인에 대하여 부담한 채무가 있으면 그 성립되지 아니함을 주장할 수 있다.
②양도인이 양도통지만을 한 때에는 채무자는 그 통지를 받은 때까지 양도인에 대하여 생긴 사유로써 양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다.
반응형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양도 사전 통지 및 확정일자의 의미 (0) | 2023.03.03 |
---|---|
양수인 상호간의 우열 (0) | 2023.03.03 |
제450조 제2항의 채무자 이외의 제3자의 범위 (0) | 2023.03.03 |
채권의 준점유자에 대한 변제(전부금) (0) | 2023.03.03 |
채권양도통지 후 양도계약이 해제된 경우의 대항요건 (0) | 202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