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11. 1. 27. 선고 2010도12728 판결
1.문제점
형사재판에서 자유심증주의의 의미와 한계 및 유죄 인정을 위한 심증형성의 정도에서 ‘합리적 의심’의 의미
2.판결요지
자유심증주의를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308조가 증거의 증명력을 법관의 자유판단에 의하도록 한 것은 그것이 실체적 진실발견에 적합하기 때문이므로, 증거판단에 관한 전권을 가지고 있는 사실심 법관은 사실인정을 하면서 공판절차에서 획득된 인식과 조사된 증거를 남김없이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증거의 증명력에 대한 법관의 판단은 논리와 경험칙에 합치하여야 하고, 형사재판에서 유죄로 인정하기 위한 심증 형성의 정도는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여야 하나, 이는 모든 가능한 의심을 배제할 정도에 이를 것까지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증명력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증거를 합리적인 근거가 없는 의심을 일으켜 배척하는 것은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으로 허용될 수 없다.
여기에서 말하는 합리적 의심이란 모든 의문, 불신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와 경험칙에 기하여 요증사실과 양립할 수 없는 사실의 개연성에 대한 합리성 있는 의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관념적인 의심이나 추상적인 가능성에 기초한 의심은 합리적 의심에 포함된다고 할 수 없다.
3.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07조(증거재판주의)
① 사실의 인정은 증거에 의하여야 한다.
② 범죄사실의 인정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에 이르러야 한다.
[전문개정 2007. 6. 1.]
형사소송법 제308조(자유심증주의)
증거의 증명력은 법관의 자유판단에 의한다.
'형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적 증거방법과 구속력 (0) | 2023.04.27 |
---|---|
간접증거에 의한 범죄사실의 인정 (형사) (0) | 2023.04.27 |
자유심증주의의 의미와 한계 (형사소송법 제308조) (0) | 2023.04.27 |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의 의미 및 그 증명책임 소재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4항) (0) | 2023.04.27 |
친고죄에서의 고소 유무와 자유로운 증명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