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5. 8. 20. 선고 2013도11650 전원합의체 판결
1.문제점
형사소송법 제308조에서 규정하는 자유심증주의의 의미와 한계
2.판결요지
[다수의견]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1항, 제308조는 증거에 의하여 사실을 인정하되 증거의 증명력은 법관의 자유판단에 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법관이 증거능력 있는 증거 중 필요한 증거를 채택·사용하고 증거의 실질적인 가치를 평가하여 사실을 인정하는 것은 법관의 자유심증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충분한 증명력이 있는 증거를 합리적인 근거 없이 배척하거나 반대로 객관적인 사실에 명백히 반하는 증거를 아무런 합리적인 근거 없이 채택·사용하는 등으로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어긋나는 것이 아닌 이상, 법관은 자유심증으로 증거를 채택하여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
3.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07조(증거재판주의)
① 사실의 인정은 증거에 의하여야 한다.
② 범죄사실의 인정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에 이르러야 한다.
[전문개정 2007. 6. 1.]
형사소송법 제308조(자유심증주의)
증거의 증명력은 법관의 자유판단에 의한다.
반응형
'형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접증거에 의한 범죄사실의 인정 (형사) (0) | 2023.04.27 |
---|---|
법관의 자유판단 (형사소송) (0) | 2023.04.27 |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의 의미 및 그 증명책임 소재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4항) (0) | 2023.04.27 |
친고죄에서의 고소 유무와 자유로운 증명 (0) | 2023.04.27 |
피고인의 자료 제출과 유죄인정의 증거로 쓸 경우의 증거조사 절차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