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0. 2. 25. 선고 2009도8473 판결
1.쟁점
‘재건축사업으로 철거가 예정되어 있고 그 입주자들이 모두 이사하여 아무도 거주하지 않는 아파트’가 재물손괴죄의 객체가 되는지 여부
2.판결요지
재건축사업으로 철거가 예정되어 있었고 그 입주자들이 모두 이사하여 아무도 거주하지 않은 채 비어 있는 아파트라 하더라도, 그 아파트 자체의 객관적 성상이 본래 사용목적인 주거용으로 사용될 수 없는 상태가 아니었고, 더욱이 그 소유자들이 재건축조합으로의 신탁등기 및 인도를 거부하는 방법으로 계속 그 소유권을 행사하고 있는 상황이었다면 위와 같은 사정만으로는 위 아파트가 재물로서의 이용가치나 효용이 없는 물건으로 되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위 아파트는 재물손괴죄의 객체가 된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2007. 9. 20. 선고 2007도5207 판결 참조).
재건축사업으로 철거가 예정되어 있는 아파트를 가집행선고부 판결을 받아 철거한 행위는 형법 제20조의 정당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아, 재물손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366조(재물손괴등)
타인의 재물, 문서 또는 전자기록등 특수매체기록을 손괴 또는 은닉 기타 방법으로 기 효용을 해한 자는 3년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 12. 29.>
[제목개정 1995. 2. 29.]
반응형
'형법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명의 문서에 대한 손괴죄의 성립 여부 (0) | 2023.03.25 |
---|---|
재물손괴죄에서의 손괴의 의미 (0) | 2023.03.25 |
불가벌적 사후행위로 취득한 물건의 장물성 여부 (1) | 2023.03.25 |
장물에 대한 인식시점과 장물보관죄의 성립 여부 (0) | 2023.03.25 |
장물알선죄에서 알선의 의미 및 그 성립요건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