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04. 4. 16. 선고 2004도353 판결
1.쟁점
장물죄에 있어서 '장물'의 의미 및 재산범죄의 불가벌적 사후행위로 인하여 취득한 물건이 장물이 될 수 있는지 여부
2.판결요지
형법 제41장의 장물에 관한 죄에 있어서의 '장물'이라 함은 재산범죄로 인하여 취득한 물건 그 자체를 말하므로, 재산범죄를 저지른 이후에 별도의 재산범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사후행위가 있었다면 비록 그 행위가 불가벌적 사후행위로서 처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사후행위로 인하여 취득한 물건은 재산범죄로 인하여 취득한 물건으로서 장물이 될 수 있다.
甲이 권한 없이 인터넷뱅킹으로 타인의 예금계좌에서 자신의 예금계좌로 돈을 이체한 후 그 중 일부를 인출하여 그 정을 아는 乙에게 교부한 경우, 乙의 장물취득죄의 성립을 부정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362조(장물의 취득, 알선 등)
① 장물을 취득, 양도, 운반 또는 보관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전항의 행위를 알선한 자도 전항의 형과 같다.
반응형
'형법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물손괴죄에서의 손괴의 의미 (0) | 2023.03.25 |
---|---|
재물손괴의 객체로서 재물로서의 이용가치나 효용 (0) | 2023.03.25 |
장물에 대한 인식시점과 장물보관죄의 성립 여부 (0) | 2023.03.25 |
장물알선죄에서 알선의 의미 및 그 성립요건 (0) | 2023.03.25 |
인출한 현금의 장물성 상실 여부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