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9. 1. 17. 선고 2018다260855 판결
1.문제점
유증의 포기가 사해행위 취소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2.판결요지
유증을 받을 자는 유언자의 사망 후에 언제든지 유증을 승인 또는 포기할 수 있고, 그 효력은 유언자가 사망한 때에 소급하여 발생하므로(민법 제1074조), 채무초과 상태에 있는 채무자라도 자유롭게 유증을 받을 것을 포기할 수 있다.
또한 채무자의 유증포기가 직접적으로 채무자의 일반재 산을 감소시켜 채무자의 재산을 유증 이전의 상태보다 악화시킨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유증을 받을 자가 이를 포기하는 것은 사해행위 취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옳다.
<참조조문>
민법 제406조 (채권자취소권)
①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고 재산권을 목적으로 한 법률행위를 한 때에는 채권자는 그 취소 및 원상회복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행위로 인하여 이익을 받은 자나 전득한 자가 그 행위 또는 전득당시에 채권자를 해함을 알지 못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전항의 소는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 법률행위있은 날로부터 5년내에 제기하여야 한다.
민법 제1074조 (유증의 승인, 포기)
①유증을 받을 자는 유언자의 사망후에 언제든지 유증을 승인 또는 포기할 수 있다.
②전항의 승인이나 포기는 유언자의 사망한 때에 소급하여 그 효력이 있다.
반응형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언집행자의 지정 (0) | 2023.03.17 |
---|---|
유언집행자의 당사자적격 (0) | 2023.03.17 |
포괄적 유증의 제척기간 (0) | 2023.03.17 |
포괄적 유증과 특정유증의 구별기준 (0) | 2023.03.17 |
포괄적 유증과 포괄적 사인증여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