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

유언집행자의 당사자적격

Gesetz 2023. 3. 17. 07:24
반응형

대법원 2001. 3. 27. 선고 2000다26920 판결

 

 

 

1.문제점

 

유증 목적물 관련 소송에서의 유언집행자의 당사자 적격 유무 및 민법 제1103조 제1항의 규정 취지 

 

 

 

2.판결요지

 

유언집행자는 유증의 목적인 재산의 관리 기타 유언의 집행에 필요한 모든 행위를 할 권리의무가 있으므로, 유증 목적물에 관하여 경료된, 유언의 집행에 방해가 되는 다른 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소송에 있어서는 유언집행자가 이른바 법정소송담당으로서 원고적격을 가진다고 할 것이고, 유언집행자는 유언의 집행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는 상속인과 이해상반되는 사항에 관하여도 중립적 입장에서 직무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유언집행자가 있는 경우 그의 유언집행에 필요한 한도에서 상속인의 상속재산에 대한 처분권은 제한되며 그 제한 범위 내에서 상속인은 원고적격이 없다고 할 것이다.

 

민법 제1103조 제1항은 "지정 또는 선임에 의한 유언집행자는 상속인의 대리인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이 조항은 유언집행자의 행위의 효과가 상속인에게 귀속함을 규정한 것이지, 유언집행자의 소송수행권과 별도로 상속인 본인의 소송수행권도 언제나 병존함을 규정한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민법 제1101조 (유언집행자의 권리의무)

 

유언집행자는 유증의 목적인 재산의 관리 기타 유언의 집행에 필요한 행위를 할 권리의무가 있다. 

 

 

민법 제1103조 (유언집행자의 지위)

 

①지정 또는 선임에 의한 유언집행자는 상속인의 대리인으로 본다.

②제681조 내지 제685조, 제687조, 제691조와 제692조의 규정은 유언집행자에 준용한다.

반응형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언집행자의 해임  (0) 2023.03.17
유언집행자의 지정  (0) 2023.03.17
유증포기의 사해행위성  (0) 2023.03.17
포괄적 유증의 제척기간  (0) 2023.03.17
포괄적 유증과 특정유증의 구별기준  (0)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