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1. 8. 25. 선고 2011도6507 판결
1.문제점
형법 제6조 단서에서 정한 ‘외국법규의 존재’에 대한 증명의 정도(=엄격한 증명)와 증명책임의 소재(=검사)
2.판결요지
형법 제6조 본문에 의하여 외국인이 대한민국 영역 외에서 대한민국 국민에 대하여 범죄를 저지른 경우 우리 형법이 적용되지만, 같은 조 단서에 의하여 행위지 법률에 의하여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하거나 소추 또는 형의 집행을 면제할 경우에는 우리 형법을 적용하여 처벌할 수 없고, 이 경우 행위지 법률에 의하여 범죄를 구성하는지는 엄격한 증명에 의하여 검사가 이를 증명하여야 한다.
3.참조조문
형법 제5조(외국인의 국외범)
본법은 대한민국영역외에서 다음에 기재한 죄를 범한 외국인에게 적용한다.
1. 내란의 죄
2. 외환의 죄
3. 국기에 관한 죄
4. 통화에 관한 죄
5. 유가증권, 우표와 인지에 관한 죄
6. 문서에 관한 죄중 제225조 내지 제230조
7. 인장에 관한 죄중 제238조
형법 제6조(대한민국과 대한민국국민에 대한 국외범)
본법은 대한민국영역외에서 대한민국 또는 대한민국국민에 대하여 전조에 기재한 이외의 죄를 범한 외국인에게 적용한다. 단 행위지의 법률에 의하여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하거나 소추 또는 형의 집행을 면제할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형사소송법 제308조(자유심증주의)
증거의 증명력은 법관의 자유판단에 의한다.
반응형
'형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고죄에서의 고소 유무와 자유로운 증명 (0) | 2023.04.27 |
---|---|
피고인의 자료 제출과 유죄인정의 증거로 쓸 경우의 증거조사 절차 (0) | 2023.04.27 |
특별한 경험법칙과 엄격한 증명 (형사) (0) | 2023.04.27 |
몰수·추징에 관한 사실과 엄격한 증명 여부 (0) | 2023.04.27 |
증명책임의 전환 (형사소송)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