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2도5939 판결
1.쟁점
무고죄에 있어서 고소사실의 허위성에 대한 인식 요부 및 고소내용이 사실에 기초하여 그 정황을 다소 과장한 경우, 무고죄의 성립 여부
2.판결요지
무고죄는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하는 때에 성립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허위사실의 신고라 함은 신고사실이 객관적 사실에 반한다는 것을 확정적이거나 미필적으로 인식하고 신고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설령 고소사실이 객관적 사실에 반하는 허위의 것이라 할지라도 그 허위성에 대한 인식이 없을 때에는 무고에 대한 고의가 없다 할 것이고, 고소내용이 터무니없는 허위사실이 아니고 사실에 기초하여 그 정황을 다소 과장한 데 지나지 아니한 경우에는 무고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
3.참조조문
형법 제156조(무고)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 12. 29.>
반응형
'형법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사처분을 받게 할 목적의 의미 및 범의 (형법 제156조) (0) | 2023.04.11 |
---|---|
무고죄의 성립요건 (형법 제156조) (0) | 2023.04.11 |
증거인멸죄 (피고인의 공범자 아닌 자의 증거를 인멸) (0) | 2023.04.11 |
증거인멸죄 교사범의 죄책 (자기의 형사피고사건) (0) | 2023.04.11 |
허위감정죄 (고의범)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