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1996. 2. 13. 선고 95도1794 판결
1.사안
소변검사 결과와 압수된 약물은 마약사범의 각 투약행위에 대한 보강증거가 될 수 없다고 본 사례
2.판결요지
소변검사 결과는 1995. 1. 17.자 투약행위로 인한 것일 뿐 그 이전의 4회에 걸친 투약행위와는 무관하고, 압수된 약물도 이전의 투약행위에 사용되고 남은 것이 아니므로, 위 소변검사 결과와 압수된 약물은 결국 피고인이 투약습성이 있다는 점에 관한 정황증거에 불과하다 할 것인바
피고인의 습벽을 범죄구성요건으로 하며 포괄1죄인 상습범에 있어서도 이를 구성하는 각 행위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보강증거를 요구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투약습성에 관한 정황증거만으로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위반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인 각 투약행위가 있었다는 점에 관한 보강증거로 삼을 수는 없다고 본 사례.
3.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10조(불이익한 자백의 증거능력)
피고인의 자백이 그 피고인에게 불이익한 유일의 증거인 때에는 이를 유죄의 증거로 하지 못한다.
반응형
'형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재내용이 서로 다른 공판조서에 대한 증명력 (형사소송) (0) | 2023.05.02 |
---|---|
공판조서의 증명력 (형사소송) (0) | 2023.05.02 |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의 정도 (형사소송) (0) | 2023.05.02 |
보강증거와 정황증거 (형사소송) (0) | 2023.05.02 |
보강증거 (업무용 수첩)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