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1. 6. 30. 선고 2009도6717 판결
1.문제점
수사기관이 ‘피고인 아닌 자’를 상대로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를 ‘피고인’에 대한 유죄 인정의 증거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
2.판결요지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는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증거로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수사기관이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유죄 인정의 증거로 삼을 수 없는 것이 원칙이므로, 수사기관이 피고인 아닌 자를 상대로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원칙적으로 피고인에 대한 유죄 인정의 증거로 삼을 수 없다.
3.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221조(제3자의 출석요구 등)
①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은 수사에 필요한 때에는 피의자가 아닌 자의 출석을 요구하여 진술을 들을 수 있다. 이 경우 그의 동의를 받아 영상녹화할 수 있다.
②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은 수사에 필요한 때에는 감정ㆍ통역 또는 번역을 위촉할 수 있다.
③ 제163조의2제1항부터 제3항까지는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이 범죄로 인한 피해자를 조사하는 경우에 준용한다.
[전문개정 2007. 6. 1.]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위법수집증거의 배제)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증거로 할 수 없다.
[본조신설 2007. 6. 1.]
반응형
'형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법한 지문채취 대상물을 압수전 채취한 지문의 위법수집증거 여부 (0) | 2023.04.28 |
---|---|
강제연행과 채뇨 요구의 위법성 여부 (0) | 2023.04.28 |
감정결과보고서 등의 증거능력 유무 (0) | 2023.04.28 |
위법수집증거의 배제 (형사) (0) | 2023.04.27 |
범인식별 절차 (목격자 진술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한 절차적 요건)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