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8. 8. 1. 선고 2018도7293 판결
1.쟁점
무고죄의 경우 재판확정 전의 자백을 필요적 감경 또는 면제사유로 정한 형법 제157조, 제153조에서 자백의 범위
2.판결요지
형법 제157조, 제153조는 무고죄를 범한 자가 그 신고한 사건의 재판 또는 징계처분이 확정되기 전에 자백 또는 자수한 때에는 그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한다고 하여 이러한 재판확정 전의 자백을 필요적 감경 또는 면제사유로 정하고 있다.
위와 같은 자백의 절차에 관해서는 아무런 법령상의 제한이 없으므로 그가 신고한 사건을 다루는 기관에 대한 고백이나 그 사건을 다루는 재판부에 증인으로 다시 출석하여 전에 그가 한 신고가 허위의 사실이었음을 고백하는 것은 물론 무고 사건의 피고인 또는 피의자로서 법원이나 수사기관에서의 신문에 의한 고백 또한 자백의 개념에 포함된다.
3.판결요지
형법 제153조(자백, 자수)
전조의 죄를 범한 자가 그 공술한 사건의 재판 또는 징계처분이 확정되기 전에 자백 또는 자수한 때에는 그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한다.
형법 제157조(자백ㆍ자수)
제153조는 전조에 준용한다.
반응형
'형법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해위증죄의 법적 성질 (신분관계) (0) | 2023.04.13 |
---|---|
징계처분의 의미 (형법 제156조) (0) | 2023.04.12 |
형사처분을 받게 할 목적의 의미 및 범의 (형법 제156조) (0) | 2023.04.11 |
무고죄의 성립요건 (형법 제156조) (0) | 2023.04.11 |
신고사실의 허위성의 의미 (무고죄의 성립요건)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