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1997. 11. 14. 선고 97다34808 판결
1.쟁점
물상보증과 연대보증의 피담보채무의 중첩성이 인정될 경우, 근저당권의 소멸시 연대보증계약도 해지된 것으로 볼 것인지 여부 및 이 경우 해지 이전에 발생한 연대보증채무의 소멸 여부
2.판결요지
물상보증과 연대보증의 피담보채무의 중첩성이 인정될 경우, 특히 근저당권이 담보하는 피담보채무와 연대보증계약상의 주채무가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경우에 달리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저당권의 소멸과 동시에 연대보증계약도 해지되어 장래에 향하여 그 효력을 상실한다고 봄이 상당 하므로 연대보증인은 위 해지 이전에 발생한 보증채무에 대하여는 연대보증계약을 해지하였다고 하더라도 면제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책임을 면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05조 (임의규정)
법률행위의 당사자가 법령중의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관계없는 규정과 다른 의사를 표시한 때에는 그 의사에 의한다.
민법 제428조 (보증채무의 내용)
①보증인은 주채무자가 이행하지 아니하는 채무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
②보증은 장래의 채무에 대하여도 할 수 있다.
반응형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증인의 시효소멸 항변 (1) | 2023.03.02 |
---|---|
보증채무 자체의 이행지체로 인한 지연손해금과 보증한도액 (0) | 2023.03.02 |
근보증의 책임범위 제한 (0) | 2023.03.02 |
물적보증과 인적보증의 경합 (0) | 2023.03.02 |
저당물의 제3취득자 (0) | 202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