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08. 12. 24. 선고 2007도9287 판결
1.쟁점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에서 ‘권리행사 방해’의 의미 및 기수시기
2.판결요지
형법 제123조가 규정하는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에서 권리행사를 방해한다 함은 법령상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의 정당한 행사를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고 할 것이므로 이에 해당하려면 구체화된 권리의 현실적인 행사가 방해된 경우라야 할 것이고, 따라서 공무원의 직권남용행위가 있었다 할지라도 현실적으로 권리행사의 방해라는 결과가 발생하지 아니하였다면 본죄의 기수를 인정할 수 없다 (대법원 2006. 2. 9. 선고 2003도4599 판결 등 참조).
3.참조조문
형법 제123조(직권남용)
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의무없는 일을 하게 하거나 사람의 권리행사를 방해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 12. 29.>
반응형
'형법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물죄에서 뇌물의 판단기준 (0) | 2023.04.07 |
---|---|
불법체포·감금과 재심사유 (위헌적 법령에 따른 영장주의 배제) (0) | 2023.04.07 |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한 때의 의미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 (0) | 2023.04.07 |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에서 직권남용 및 의무의 의미 (0) | 2023.04.07 |
공무상비밀누설죄의 객체와 보호법익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