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1980. 5. 20. 선고 80도306 판결
1.쟁점
내란죄에 있어서의 국헌문란의 목적의 의미와 인식
2.판결요지
내란죄에 있어서의 국헌문란의 목적은 현행의 헌법 또는 법률이 정한 정치적 기본조직을 불법으로 파괴하는 것을 말하고 구체적인 국가기관인 자연인만을 살해하거나, 그 계승을 기대하는 것은 이에 해당되지 않으나 반드시 초법규적인 의미는 아니라고 할 것이며, 공산, 군주 또는 독재제도로 변경하여야 하는 것은 더욱 아니고, 그 목적은 엄격한 증명사항에 속하고 직접적임을 요하나 결과발생의 희망, 의욕임을 필요로 한다고 할 수는 없고, 또 확정적 인식임을 요하지 아니하며, 다만 미필적인식이 있으면 족하다 할 것이다.
<참조조문>
형법 제87조(내란)
대한민국 영토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국가권력을 배제하거나 국헌을 문란하게 할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처벌한다.
1. 우두머리는 사형, 무기징역 또는 무기금고에 처한다.
2. 모의에 참여하거나 지휘하거나 그 밖의 중요한 임무에 종사한 자는 사형,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에 처한다. 살상, 파괴 또는 약탈 행위를 실행한 자도 같다.
3. 부화수행(附和隨行)하거나 단순히 폭동에만 관여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에 처한다.
[전문개정 2020. 12. 8.]
반응형
'형법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밀의 개념과 판단 기준 (국가보안법 제4조) (0) | 2023.04.05 |
---|---|
간첩과 간첩행위의 내용 (형법 제98조) (0) | 2023.04.05 |
내란죄의 성립요건 (형법 제87조) (0) | 2023.04.04 |
복표의 개념 및 판단기준 (형법 제248조) (0) | 2023.04.04 |
도박개장죄의 성립 요건 (가상화폐)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