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1992. 5. 12. 선고 92다6112 판결
1.쟁점
과실상계에서 과실의 의미
2.판결요지
민법 제763조와 제396조에 규정되어 있는 과실상계제도는 불법행위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하는 것과는 그 취지가 달라 피해자가 사회공동생활을 함에 있어서 신의칙상 요구되는 주의를 다하지 아니한 경우에 불법행위자의 손해배상의 책임 및 배상하여야 할 손해의 금액을 정함에 있어서 손해배상제도의 지도원리인 공평의 원칙에 따라 손해의 발생에 관한 피해자의 그와 같은 부주의를 참작하게 하려는 것이므로, 피해자가 불법행위의 성립에 요구되는 엄격한 의미의 주의의무를 위반한 경우뿐만 아니라 단순한 부주의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 확대되게 한 경우에도 피해자에게 과실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과실상계를 할 수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396조 (과실상계)
채무불이행에 관하여 채권자에게 과실이 있는 때에는 법원은 손해배상의 책임 및 그 금액을 정함에 이를 참작하여야 한다.
민법 제763조 (준용규정)
제393조, 제394조, 제396조, 제399조의 규정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 준용한다.
반응형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익상계 (0) | 2023.02.28 |
---|---|
과실상계에서의 과실비율의 산정 (0) | 2023.02.28 |
손해배상액의 산정기준 시점 (0) | 2023.02.28 |
채무불이행에서 지출비용의 배상 (0) | 2023.02.28 |
특별사정에 대한 예견가능성의 판단시기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