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5다52978 판결
1.쟁점
공유지분 포기의 법적 성질과 물권변동 효력발생시기
2.판결요지
민법 제267조는 “공유자가 그 지분을 포기하거나 상속인 없이 사망한 때에는 그 지분은 다른 공유자에게 각 지분의 비율로 귀속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공유지분의 포기는 법률행위로서 상대방 있는 단독행위에 해당하므로, 부동산 공유자의 공유지분 포기의 의사표시가 다른 공유자에게 도달하더라도 이로써 곧바로 공유지분 포기에 따른 물권변동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공유자는 자신에게 귀속될 공유지분에 관하여 소유권이전 등기청구권을 취득하며, 이후 민법 제186조에 의하여 등기를 하여야 공유지분 포기에 따른 물권변동의 효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부동산 공유자의 공유지분 포기에 따른 등기는 해당 지분에 관하여 다른 공유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제186조 (부동산물권변동의 효력)
부동산에 관한 법률행위로 인한 물권의 득실변경은 등기하여야 그 효력이 생긴다.
제267조 (지분포기등의 경우의 귀속)
공유자가 그 지분을 포기하거나 상속인없이 사망한 때에는 그 지분은 다른 공유자에게 각지분의 비율로 귀속한다.
반응형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유와 소유권의 귀속 (0) | 2023.02.21 |
---|---|
공유물의 분할 (0) | 2023.02.21 |
공유물 관리에 관한 특약 (0) | 2023.02.21 |
공유물 관리방법의 결정 (0) | 2023.02.21 |
공유물의 보존행위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