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07. 1. 25. 선고 2006도3844 판결
1.쟁점
공증인이 사서증서 인증서를 작성함에 있어, 당사자가 공증인의 면전에서 사서증서에 서명 또는 날인을 하거나 당사자 본인이나 그 대리인으로 하여금 사서증서의 서명 또는 날인이 본인의 것임을 확인하게 한 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렇게 한 것처럼 인증서에 기재한 경우, 허위공문서작성죄의 성립 여부
2.판결요지
사서증서 인증을 촉탁받은 공증인이 사서증서 인증서를 작성함에 있어, 당사자가 공증인의 면전에서 사서증서에 서명 또는 날인을 하거나 당사자 본인이나 그 대리인으로 하여금 사서증서의 서명 또는 날인이 본인의 것임을 확인하게 한 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당사자가 공증인의 면전에서 사서증서에 서명 또는 날인을 하거나 본인이나 그 대리인이 사서증서의 서명 또는 날인이 본인의 것임을 확인한 것처럼 인증서에 기재하였다면, 허위공문서작성죄의 죄책을 면할 수 없다.
공증담당 변호사가 법무사의 직원으로부터 인증촉탁서류를 제출받았을 뿐, 법무사가 공증사무실에 출석하여 사서증서의 날인이 당사자 본인의 것임을 확인한 바 없음에도 마치 그러한 확인을 한 것처럼 인증서에 기재한 경우, 허위공문서작성죄가 성립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227조(허위공문서작성등)
공무원이 행사할 목적으로 그 직무에 관하여 문서 또는 도화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변개한 때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전문개정 1995. 12. 29.]
반응형
'형법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위공문서작성죄 (허위진단서 작성) (0) | 2023.03.29 |
---|---|
허위진단서작성죄의 성립요건 (0) | 2023.03.29 |
형법 제232조의2의 전자기록 등 특수매체기록 (컴퓨터의 기억장치 중 하나인 램) (0) | 2023.03.29 |
공전자기록등위작죄에서 ‘위작’ 및 ‘허위의 정보’의 의미 및 공전자기록등불실기재죄에서 ‘허위의 신고’의 의미 (0) | 2023.03.29 |
사문서위조죄의 성립 여부 (문서작성권한의 위임)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