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00. 12. 27. 선고 99도5679 판결
1.문제점
형사소송법 제316조 제2항 소정의 '피고인 아닌 타인'의 의미
2.판결요지
형사소송법 제316조 제2항에 의하면 피고인 아닌 자의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의 진술이 피고인 아닌 타인의 진술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것인 때에는 원진술자가 사망, 질병 기타 사유로 인하여 진술할 수 없고 그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 하에서 행하여진 때에 한하여 이를 증거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피고인 아닌 자라고 함은 제3자는 말할 것도 없고 공동피고인이나 공범자를 모두 포함한다고 해석된다.
3.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16조(전문의 진술)
① 피고인이 아닌 자(공소제기 전에 피고인을 피의자로 조사하였거나 그 조사에 참여하였던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의 진술이 피고인의 진술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것인 때에는 그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졌음이 증명된 때에 한하여 이를 증거로 할 수 있다. <개정 2007. 6. 1.>
② 피고인 아닌 자의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의 진술이 피고인 아닌 타인의 진술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것인 때에는 원진술자가 사망, 질병, 외국거주, 소재불명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사유로 인하여 진술할 수 없고, 그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졌음이 증명된 때에 한하여 이를 증거로 할 수 있다. <개정 1995. 12. 29., 2007. 6. 1.>
[전문개정 1961. 9. 1.]
'형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술의 임의성 (형사소송) (0) | 2023.04.30 |
---|---|
재전문증거 (재전문서류와 재전문진술) (0) | 2023.04.30 |
당연히 증거능력이 있는 서류의 의미 (형사소송법 제315조) (0) | 2023.04.30 |
반대신문이 결여된 진술증거의 증명력 (형사) (0) | 2023.04.30 |
사법경찰관리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와 증거능력 (0) | 202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