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09. 9. 10. 선고 2006다61536, 61543 판결
1.쟁점
토지수용과 가압류의 효력
2.판결요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5조 제1항에 의하면, 토지 수용의 경우 사업시행자는 수용의 개시일에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고 그 토지에 관한 다른 권리는 소멸하는 것인바, 수용되는 토지에 대하여 가압류가 집행되어 있더라도 토지 수용으로 사업시행자가 그 소유권을 원시취득하게 됨에 따라 그 토지 가압류의 효력은 절대적으로 소멸하는 것이고, 이 경우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이상 토지에 대한 가압류가 그 수용보상금채권에 당연히 전이되어 효력이 미치게 된다거나 수용보상금채권에 대하여도 토지 가압류의 처분금지적 효력이 미친다고 볼 수는 없으며, 또 가압류는 담보물권과는 달리 목적물의 교환가치를 지배하는 권리가 아니고, 담보 물권의 경우에 인정되는 물상대위의 법리가 여기에 적용된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러므로 토지에 대하여 가압류가 집행된 후에 제3자가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함으로써 가압류의 처분금지 효력을 받고 있던 중 그 토지가 공익사업법에 따라 수용됨으로 인하여 기존 가압류의 효력이 소멸되는 한편 제3취득자인 토지소유자는 위 가압류의 부담에서 벗어나 토지수용보상금을 온전히 지급받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위 법에 따른 토지 수용의 효과일 뿐이지 이를 두고 법률상 원인없는 부당이득이라고 할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5조 (권리의 취득ㆍ소멸 및 제한)
①사업시행자는 수용의 개시일에 토지나 물건의 소유권을 취득하며, 그 토지나 물건에 관한 다른 권리는 이와 동시에 소멸한다.
②사업시행자는 사용의 개시일에 토지나 물건의 사용권을 취득하며, 그 토지나 물건에 관한 다른 권리는 사용의 기간중에는 이를 행사하지 못한다.
③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로 인정된 권리는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소멸되거나 그 행사가 정지되지 아니한다.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점유자와 간접점유자의 부당이득반환의무의 관계 (0) | 2023.03.10 |
---|---|
확정판결이 실체적 권리관계와 다른 경우와 부당이득반환의무 (0) | 2023.03.10 |
저당권자의 물상대위권 상실과 부당이득반환청구권 (0) | 2023.03.10 |
권리를 상실한 권리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 (무권리자의 처분행위) (0) | 2023.03.09 |
경매에서 소유권을 상실한 소유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