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1967. 5. 23. 선고 67도471 판결
1.쟁점
친고죄와 고소권의 포기
2.판결요지
친고죄에 있어서의 피해자의 고소권은 공법상의 권리라고 할 것이므로 법이 특히 명문으로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유처분을 할 수 없고 따라서 일단한 고소는 취소할 수 있으나 고소전에 고소권을 포기할 수 없다고 함이 상당할 것이다.
3.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232조(고소의 취소)
① 고소는 제1심 판결선고 전까지 취소할 수 있다.
② 고소를 취소한 자는 다시 고소할 수 없다.
③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사건에서 처벌을 원하는 의사표시를 철회한 경우에도 제1항과 제2항을 준용한다.
[전문개정 2020. 12. 8.]
반응형
'형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의동행의 적법요건 (형사소송법) (0) | 2023.04.18 |
---|---|
소송조건으로서의 고발과 불가분원칙 (0) | 2023.04.18 |
항소권회복청구를 통한 항소심 재판과 처벌 희망 의사표시의철회 가능 여부 (0) | 2023.04.18 |
파기환송 후 제1심에서의 고소취소 (0) | 2023.04.18 |
항소심에서의 공소장 변경 및 고소취소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