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2. 2. 9. 선고 2011다72189 판결
1.쟁점
채무자 및 제3자에 의한 점유침탈에 의해 유치권이 소멸되는지 여부 및 점유를 회복한 경우에는 유치권이 되살아나는지 여부
2.판결요지
갑 주식회사가 건물신축 공사대금 일부를 지급받지 못하자 건물을 점유하면서 유치권을 행사해 왔는데, 그 후 을이 경매절차에서 건물 중 일부 상가를 매수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다음 갑 회사의 점유를 침탈하여 병에게 임대한 사안에서, 을의 점유침탈로 갑 회사가 점유를 상실한 이상 유치권은 소멸하고, 갑 회사가 점유회수의 소를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아 점유를 회복하면 점유를 상실하지 않았던 것으로 되어 유치권이 되살아나지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점유를 회복하기 전에는 유치권이 되살아나는 것이 아님에도, 갑 회사가 상가에 대한 점유를 회복하였는지를 심리하지 아니 한 채 점유회수의 소를 제기하여 점유를 회복할 수 있다는 사정만으로 갑 회사의 유치권이 소멸하지 않았다고 본 원심판결에 점유상실로 인한 유치권 소멸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제320조 (유치권의 내용)
①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는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 변제기에 있는 경우에는 변제를 받을 때까지 그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유치할 권리가 있다.
②전항의 규정은 그 점유가 불법행위로 인한 경우에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328조 (점유상실과 유치권소멸)
유치권은 점유의 상실로 인하여 소멸한다.
반응형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압류의 효력발생 후 점유를 이전받아 유치권을 취득한 자의 지위 (0) | 2023.02.24 |
---|---|
압류의 효력발생 후 유치권을 취득한 자의 지위 (0) | 2023.02.24 |
이른바 계약명의신탁과 신탁자의 유치권 (0) | 2023.02.24 |
간접점유와 유치권 (0) | 2023.02.24 |
부동산 매매대금채권과 유치권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