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09. 9. 24. 선고 2009다39530 판결
1.쟁점
유치권의 피담보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이 확정판결 등에 의하여 10년으로 연장된 경우, 유치권이 성립된 부동산의 매수인이 종전의 단기소멸시효를 원용할 수 있는지 여부
2.판결요지
유치권이 성립된 부동산의 매수인은 피담보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시효로 인하여 채무가 소멸되는 결과 직접적인 이익을 받는 자에 해당하므로 소멸시효의 완성을 원용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할 것이나, 매수인은 유치권자에게 채무자의 채무와는 별개의 독립된 채무를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채무자의 채무를 변제할 책임을 부담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유치권의 피담보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이 확정판결 등에 의하여 10년으로 연장된 경우 매수인은 그 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이 연장된 효과를 부정하고 종전의 단기소멸시효기간을 원용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65조 (판결등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의 소멸시효)
①판결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은 단기의 소멸시효에 해당한 것이라도 그 소멸시효는 10년으로 한다.
②파산절차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 및 재판상의 화해, 조정 기타 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것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도 전항과 같다.
③전2항의 규정은 판결확정당시에 변제기가 도래하지 아니한 채권에 적용하지 아니한다.
반응형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물권으로서의 유치권 (0) | 2023.02.25 |
---|---|
근저당권설정 후 취득한 유치권과 대항력 (0) | 2023.02.25 |
유치권자의 사용과 유치권 소멸 (0) | 2023.02.25 |
체납처분압류 후 경매개시 전에 취득한 유치권의 대항력 (0) | 2023.02.25 |
가압류의 효력발생 후 점유를 이전받아 유치권을 취득한 자의 지위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