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법총론

외국에서 받은 형의 산입

Gesetz 2023. 1. 31. 05:41
반응형

대법원 2017. 8. 24. 선고 2017도5977 전원합의체 판결

 

 

 

<쟁점>

 

형법 제7조의 취지 및 동조에서 정한 ‘외국에서 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집행된 사람’에 형사사건으로 외국 법원에 기소되었다가 무죄판결을 받기까지 상당기간 미결구금된 사람이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형법 제7조는 “죄를 지어 외국에서 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집행된 사람에 대해서는 그 집행된 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고하는 형에 산입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의 취지는, 형사판결은 국가주권의 일부분인 형벌권 행사에 기초한 것이어서 피고인이 외국에서 형사처벌을 과하는 확정판결을 받았더라도 그 외국 판결은 우리나라 법원을 기속할 수 없고 우리나라에서는 기판력도 없어 일사부재리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피고인이 동일한 행위에 관하여 우리나라 형벌법규 에 따라 다시 처벌받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실질적인 불이익을 완화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외국에서 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집행된 사람’이란 문언과 취지에 비추어 ‘외국 법원의 유죄판결에 의하여 자유형이나 벌금형 등 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실제로 집행된 사람’을 말한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형사사건으로 외국 법원에 기소되었다가 무죄판결을 받은 사람은, 설령 그가 무죄판결을 받기까지 상당 기간 미결구금되었더라도 이를 유죄판결에 의하여 형이 실제로 집행된 것으로 볼 수는 없으므로, ‘외국에서 형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집행된 사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그 미결 구금기간은 형법 제7조에 의한 산입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반응형

'형법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인의 형벌능력과 양벌규정  (0) 2023.01.31
법인의 범죄능력  (0) 2023.01.31
형법의 장소적 적용범위  (0) 2023.01.31
형법의 시간적 적용범위  (0) 2023.01.31
책임주의  (0)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