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3.6.27. 5선고 2013도4172 판결
1.문제점
형사재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기 위한 심증 형성의 정도 및 간접증거의 증명력
2.판결요지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에서 범죄의 일시·장소와 방법을 명시하여 공소사실을 특정하도록 한 취지는 법원에 대하여 심판의 대상을 한정하고 피고인에게 방어의 범위를 특정하여 그 방어권 행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데 있다고 할 것이므로
공소제기된 범죄의 성격에 비추어 그 공소의 원인이 된 사실을 다른 사실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일시, 장소, 방법, 목적 등을 적시하여 특정하면 족하고, 그 일부가 다소 불명확하더라도 그와 함께 적시된 다른 사항들에 의하여 그 공소사실을 특정할 수 있고, 그리하여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지장이 없다면 공소제기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대법원 2001. 2. 23. 선고 2000도4415 판결 등 참조).
3.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07조(증거재판주의)
① 사실의 인정은 증거에 의하여야 한다.
② 범죄사실의 인정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에 이르러야 한다.
[전문개정 2007. 6. 1.]
형사소송법 제308조(자유심증주의)
증거의 증명력은 법관의 자유판단에 의한다.
반응형
'형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약류 투약범죄의 공소사실과 특정 여부 판단 방법 (0) | 2023.04.23 |
---|---|
공소사실의 특정 (0) | 2023.04.23 |
공소제기와 공소장 및 공소제기의 효력 범위 (0) | 2023.04.23 |
자의적인 공소권행사와 공소권의 남용 여부 (1) | 2023.04.23 |
누락된 사건의 공소제기 (0)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