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18. 8. 30. 선고 2015다27132, 27149 판결
1.쟁점
상속개시 후 상속재산분할 전 상속재산으로부터 발생하는 과실이 어떠한 비율로 귀속하는지 여부
(상속재산분할심판에서 상속재산 과실을 고려하지 않은 채, 분할의 대상이 된 상속재산 중 특정 상속재산을 상속인 중 1인 의 단독소유로 하고 그의 구체적 상속분과 특정 상속재산의 가액과의 차액을 현금으로 정산하는 방법으로 상속재산을 분할한 경우, 공동상속인들이 수증재산과 기여분 등을 참작하여 상속개시 당시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구체적 상속분’의 비율에 따라 상속재산 과실을 취득하는지 여부)
2.판결요지
상속개시 후 상속재산분할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속재산으로부터 발생하는 과실(이하 ‘상속재산 과실’이라 한다)은 상속개시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상속재산분할심판에서 이러한 상속재산 과실을 고려하지 않은 채, 분할의 대상이 된 상속재산 중 특정 상속재산을 상속인 중 1인의 단독소유로 하고 그의 구체적 상속분과 특정 상속재산의 가액과의 차액을 현금으로 정산하는 방법 (이른바 대상분할의 방법)으로 상속재산을 분할한 경우, 그 특정 상속재산을 분할받은 상속인은 민법 제1015조 본문에 따라 상속개시된 때에 소급하여 이를 단독소유한 것으로 보게 되지만, 상속재산 과실까지도 소급하여 상속인이 단독으로 차지하게 된다고 볼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 상속재산 과실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공동상속인들이 수증재산과 기여분 등을 참작하여 상속개시 당시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구체적 상속분’의 비율에 따라, 이를 취득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참조조문>
민법 제1007조 (공동상속인의 권리의무 승계)
공동상속인은 각자의 상속분에 응하여 피상속인의 권리의무를 승계한다.
민법 제1008조 (특별수익자의 상속분)
공동상속인중에 피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의 증여 또는 유증을 받은 자가 있는 경우에 그 수증재산이 자기의 상속분에 달하지 못한 때에는 그 부족한 부분의 한도에서 상속분이 있다.<개정 1977. 12. 31.>
민법 제1015조 (분할의 소급효)
상속재산의 분할은 상속개시된 때에 소급하여 그 효력이 있다. 그러나 제삼자의 권리를 해하지 못한다.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정승인과 상속재산분할의 관계 (0) | 2023.03.16 |
---|---|
상속) 특별수익의 평가시기 및 대상분할을 하는 경우 가액산정의 시기 (0) | 2023.03.16 |
가분채권인 상속재산의 분할 (0) | 2023.03.16 |
배우자에 대한 증여와 특별수익 (0) | 2023.03.16 |
배우자의 요양간호와 기여분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