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12. 8. 30. 선고 2010다39918 판결
1.쟁점
부동산을 공동으로 매수한 매수인들 사이의 법률관계를 민법상 조합으로 보기 위한 요건
2.판결요지
수인이 부동산을 공동으로 매수한 경우, 매수인들 사이의 법률관계는 공유관계로서 단순한 공동매수인에 불과할 수도 있고, 수인을 조합원으로 하는 동업체에서 매수한 것일 수도 있는데, 부동산의 공동매수인들이 전매차익을 얻으려는 ‘공동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호 협력한 것에 불과하고 이를 넘어 ‘공동사업을 경영할 목적’이 있었다고 인정되지 않는 경우 이들 사이의 법률관계는 공유 관계에 불과할 뿐 민법상 조합관계에 있다고 볼 수 없다.
공동매수의 목적이 전매차익의 획득에 있을 경우 그것이 공동사업을 위하여 동 업체에서 매수한 것이 되려면, 적어도 공동매수인들 사이에서 매수한 토지를 공유가 아닌 동업체의 재산으로 귀속시키고 공동매수인 전원의 의사에 기하여 전원의 계산으로 처분한 후 이익을 분배하기로 하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 의사의 합치가 있어야만 하고, 이와 달리 공동매수 후 매수인별로 토지에 관하여 공유에 기한 지분권을 가지고 각자 자유롭게 지분권을 처분하여 대가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면 이를 동업체에서 매수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262조 (물건의 공유)
①물건이 지분에 의하여 수인의 소유로 된 때에는 공유로 한다.
②공유자의 지분은 균등한 것으로 추정한다.
민법 제703조 (조합의 의의)
①조합은 2인이상이 상호출자하여 공동사업을 경영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긴다.
②전항의 출자는 금전 기타 재산 또는 노무로 할 수 있다.
'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합채무에 대한 책임 (0) | 2023.03.09 |
---|---|
공동명의의 예금계약 (0) | 2023.03.09 |
위임계약과 상호해지의 자유 (0) | 2023.03.08 |
수급인의 저당권설정청구권 및 채권자취소권 (0) | 2023.03.08 |
수급인의 하자담보책임의 내용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