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1. 5. 26. 선고 2010도10305 판결
1.쟁점
적법성이 결여된 직무행위를 하는 공무원에게 대항하여 폭행이나 협박을 가한 경우,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는지 여부
2.판결요지
형법 제136조가 정하는 공무집행방해죄는 공무원의 직무집행이 적법한 경우에 한하여 성립하는 것으로, 이러한 적법성이 결여된 직무행위를 하는 공무원에게 대항하여 폭행이나 협박을 가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를 공무집행방해죄로 다스릴 수는 없다.
이때 적법한 공무집행이라 함은 그 행위가 공무원의 추상적 권한에 속할 뿐 아니라 구체적 직무집행에 관한 법률상 요건과 방식을 갖춘 경우를 가리킨다 ( 대법원 2005. 10. 28. 선고 2004도4731 판결 참조).
<참조조문>
형법 제136조(공무집행방해)
①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에 대하여 폭행 또는 협박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 12. 29.>
② 공무원에 대하여 그 직무상의 행위를 강요 또는 조지하거나 그 직을 사퇴하게 할 목적으로 폭행 또는 협박한 자도 전항의 형과 같다.
반응형
'형법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집행방해죄와 업무방해죄의 관계에 대한 판단 (0) | 2023.04.08 |
---|---|
공무집행방해죄의 성립요건 (0) | 2023.04.08 |
공무상 비밀의 누설죄와 누설의 의미 (0) | 2023.04.08 |
직무유기의 의미 및 성격 (형법 제122조) (0) | 2023.04.08 |
뇌물죄에 있어서 직무의 의미 (0) | 2023.04.08 |